티스토리 뷰

90%의 사람들은 평생에 한 번 이상은 허리 통증을 겪습니다. 

그리고 그 통증의 원인은 모두 다른데,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허리디스크이나 협착증 같은 질환인 경우도 있고 아니면 단순한 근육통 혹은 허리 인대가 다쳐서 생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오늘은 이 중 배가 나와서 생기는 허리 통증에 대해서 자세히 다뤄보려고 합니다.

이는 임산부, 비만인 사람들에게 매우 유익한 정보가 될 것입니다.

배가 나온다는 것

우선 배가 나오면 여러가지 문제들이 생기는데, 그 중 하나는 어떤 움직임을 하든, 허리에 더 많은 스트레스가 가해진다는 것이며 두 번째는 코어 근육의 시스템이 완전히 망가진다는 것입니다. 

 

특히 허리를 안정적으로 지탱해주기 위해서 수많은 코어 근육들이 적절한 위치에서 힘을 줘야 하는데 배가 나와서 복부 앞쪽이 팽창하면 복직근이 좌우로 벌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걸 전문 용어로 복직근 이개(diastasis recti)라고 합니다.

복직근 이개는 임신이나 비만 등으로 인해 복부 앞쪽이 늘어나면서 복직근이 좌우로 갈라지는 증상을 의미하는데

그림을 보면 이렇게 복부 앞쪽에 위치한 두 근육이 서로 벌어지고 그 사이를 이어주는 하얀색 인대가 매우 얇아진 걸 볼 수 있습니다.

 

이건 외관상으로도 문제가 있지만 가장 큰 문제는 코어 시스템이 망가져서 허리를 제대로 보호할 수 없게 된다는 것입니다.

 

흔히 생각하기에 허리 근육은 무거운 물건을 들 때만 쓰인다고 생각하지만 사실 걷거나, 허리를 숙일 때도 복부와 허리 근육이 수축해서 허리를 안정적으로 잡아줘야 합니다. 만약 그러지 못하면 인대관절이 빠르게 마모되어 버리고 변성이 생기면서 각종 척추 질환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실제로 복직근 이개는 허리 및 골반 통증을 유발한다는 연구결과가 많으며, 임산부 혹은 복부 비만인 사람들을 보면 허리 통증의 원인이 코어 근육 때문인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해결 방법

방법은 간단합니다. 가장 먼저 복부가 앞으로 내밀어지는 패턴을 잡아줘서 복직근 부위가 늘어나지 않게 해주는 것입니다.

 특히 배가 나온 사람들을 보면 허리는 꺾이고 배는 앞으로 나와 있는데

 

허리를 다시 바르게 세워주기만 해도 복부 길이가 정상에 가까워지면서 복직근 사이에 있는 인대들이 회복할 수 있게 도와주게 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GaaZN0j8yrI 

 

해당 운동을 통해 어느정도 허리가 바르게 세워졌다면, 이어서 코어 근육을 강화시켜,

이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게 필요합니다.

가장 대표적으로 세계적으로 유명한 맥길 박사의 big 3 운동을 추천 드립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S8VFbkSjCsQ 

(조만간 한글 버전으로도 영상을 제작하여 업로드할 예정입니다.)

 

주의사항

다만 앞서 언급한 운동은 복직근 이개를 ‘치료’하는 운동이 아니며, 주 목적은 복직근 이개로 인한 허리 및 골반통증을 없애주는 것으로 복직근 사이에 있는 인대는 그 어떤 운동이나 치료를 한다고 해도 완전히 돌아오지는 않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느정도 회복되는데는 충분히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꾸준히 따라해 보시면 굉장히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 외에도 코어 기능을 되살리기 위해 호흡 운동 및 적절한 복강내압 훈련 등을 병행하는 게 좋은데, 이는 전문가 없이는 제대로 하기가 어렵고 잘못 따라하면 오히려 안 좋은 경우가 많아서 관련한 전문 운동은 반드시 전문가의 도움 하에 받으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https://open.kakao.com/o/gi3xaQzf

 

GFD KOREA

 

open.kakao.com

본 포스팅은 직접 작성한 글로, 2차 가공 및 상업적인 이용을 금지합니다.

오픈채팅방을 통해 다양한 정보와 교육 소식을 접할 수 있습니다. 

참고

Patel, A. T., & Ogle, A. A. (2000). Diagnosis and management of acute low back pain. American family physician61(6), 1779-1786.

 

Son, S. M. (2016). Influence of obesity on postural stability in young adults. Osong public health and research perspectives7(6), 378-381. 

 

Hajihosseinali, M., Arjmand, N., & Shirazi-Adl, A. (2015). Effect of body weight on spinal loads in various activities: a personalized biomechanical modeling approach. Journal of biomechanics48(2), 276-282. 

 

 Vincent, H. K., Adams, M. C., Vincent, K. R., & Hurley, R. W. (2013). Musculoskeletal pain, fear avoidance behaviors, and functional decline in obesity: potential interventions to manage pain and maintain function. Regional Anesthesia & Pain Medicine38(6), 481-491. 

 

Litos, K. (2014). Progressive therapeutic exercise program for successful treatment of a postpartum woman with a severe diastasis recti abdominis. Journal of Women’s Health Physical Therapy38(2), 58-73. 

 

 Parker, M. A., Millar, L. A., & Dugan, S. A. (2009). Diastasis rectus abdominis and lumbo-pelvic pain and dysfunction-are they related?. Journal of women’s health physical therapy33(2), 15-22. 

 

Lee, D., & Hodges, P. W. (2016). Behavior of the linea alba during a curl-up task in diastasis rectus abdominis: an observational study. journal of orthopaedic & sports physical therapy46(7), 580-589. 

 

Frank, C., Kobesova, A., & Kolar, P. (2013). Dynamic neuromuscular stabilization & sports rehabilit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s physical therapy8(1), 62. 

 

Guo, J., Guo, W., & Ren, G. (2021). Embodiment of intra-abdominal pressure in a flexible multibody model of the trunk and the spinal unloading effects during static lifting tasks. Biomechanics and Modeling in Mechanobiology20(4), 1599-162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