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근골격계 질환/팔꿈치 통증

회외근(Supinator)

Healthknowledge 2023. 9. 15. 18:45

회외근(Supinator)

회외근은 팔꿈치 통증과 기능에 매우 강력한 영향을 주는 근육이며, 팔꿈치 통증의 핵심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테니스 엘보가 있는 사람들은 거의 대부분 회외근의 문제가 발생하며, 회외근의 기능을 정상화시켜주기만 해도 테니스 엘보의 증상 또한 훨씬 좋아지게 된다. 지금부터 회외근의 어원, 기능, 해부학, 통증 메커니즘까지 전부 알아보도록 한다. 

 

회외근의 어원

회외근(Supinator Muscle)은 손바닥이 위쪽을 향하도록 뒤집는 것을 의미하는 라틴어 'supinatus'에서 기원한 단어로, 이는 등을 대고 눕는다, 뒤로 뒤집는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실제로 supine position은 몸을 뒤로 뒤집어서 등을 대고 눕는 자세를 의미하며, Supination은 손바닥이 위를 향하도록 뒤집는 동작을 의미한다. 

 

근육 유형

손목을 회외(Supination)시켜주는 가장 강력한 근육이며, 표면부 섬유와 심부 섬유로 나뉜다.

 

Raeburn 2015

기능 단위

회외근은 총 2개의 관절 움직임에 관여한다.

- 손목 움직임

- 팔꿈치 움직임

 

회외근은 표면부 섬유와 심부 섬유로 나뉜다.

표면부 섬유는 상완골(Humeral)에서 요골(Radius)까지 부착되어 팔꿈치를 굽히거나 회외시키는 움직임을 제공하며, 심부 섬유는 척골(Ulna)에서 요골(Radius)까지 부착되어 팔꿈치를 회외시키는 움직임을 제공한다. 

 

회외근의 부착 부위

전문가는 각 근육들이 어떤 뼈에 어떻게 부착해서, 어떤 움직임을 만들어내는지 입체적이고 기능적인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해부학자(Anatomist)들이 이야기하는 기시(origin)와 정지(insertion)에 대한 개념으로는 근육의 기능에 대해서 이해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오히려 오해와 혼란을 불러일으킨다. 이 관점은 모두 열린사슬운동(open chain exercise)의 관점에서만 통용되는 개념이기 때문이다. 


실제 인체의 움직임은 실로 자유로우며, 몸통이 고정된 채로 팔이 움직이기도 하고, 팔이 고정된 채로 몸이 움직이기도 한다.(물구나무서기, Closed chain) 

 

따라서 근육은 기시와 정지가 아닌, 위치를 기준으로, 위쪽 부착부위와 아래쪽 부착부위로 나눠서 분류한다. 

 

표면부 회외근

(angin 2020)

표면부 회외근의 위쪽 부착부위는 상완골과 팔꿈치 바깥쪽 인대에 위치한다.

- Lateral epicondyle of humerus (상완골 외측상과)

- Radial collateral ligament (팔꿈치 외측측부인대)

- Annular ligament (윤상인대)

 

표면부 회외근의 아래쪽 부착부위는 요골에 위치한다.

- Lateral surface and Posterior surface of the radius (요골 측면부 및 후면부)

 

심부 회외근

심부 회외근의 위쪽 부착부위는 척골에 위치한다.

- Supinator crest of ulna (회외근 능선)

 

심부 회외근의 아래쪽 부착부위는 요골에 위치한다.

- Posterior surface of the radius (요골 후면부)

 

신경지배

회외근은 요골 신경의 심부 분지(C7~C8)의 지배를 받는다. 

 

요골신경(C5~T1)은 팔꿈치 아래쪽에서 운동신경을 담당하는 심부 분지와, 감각신경을 담당하는 표면 분지로 나뉘며, 회외근은 이 중 운동신경을 담당하는 심부 분지의 지배를 받는다. (Glover 2018)

Bentley 2015

회외근의 기능 및 기능장애

회외근은 주로 요골을 잡아당겨 회외(Supination)움직임을 제공하며, 상완골까지 이어져있는 표면부 회외근은 팔꿈치를 굽히거나 펼때도 약간의 도움을 제공한다. 

특히 위 그림을 보면 회외근 외에도 이두근(Biceps) 또한 회외 움직임을 제공한다는 걸 알 수 있는데, 이두근의 경우 팔꿈치를 완전히 펴준 상태에서는 수축이 제한되기 때문에, 팔꿈치를 편 상태에서 회외 움직임을 시도하면 회외근이 집중적으로 쓰이게 된다. 

 

그래서 만약 회외근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 이두근이 회외근의 기능을 대신하여 보상적으로 수축하게 되는데, 이두근은 회외역할을 수행하기엔 매우 비효율적인 구조로 되어 있어, 이는 곧 이두근의 과도한 긴장으로도 이어지게 된다. 

 

회외근의 통증

회외근의 긴장은 팔꿈치나 손목에 다양한 문제를 유발할 수 있으며, 테니스 엘보 같은 팔꿈치 질환의 가장 강력한 원인이 되기도 한다. 

 

신경 포착

회외근의 긴장은 회외근 사이를 주행하는 후골간신경(Posterior interosseous nerve)을 포착시키기 때문에, 팔꿈치 바깥쪽에 부착된 손목 신전근들의 근력 약화를 유발할 수 있다.

 

그리고 신경포착으로 인해 약해진 팔꿈치 근육들은 훨씬 더 쉽게 손상되며, 테니스 엘보(외측상과염) 같은 팔꿈치 질환으로 이어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테니스 엘보는 손목 신전 근육들(Extensor muscles)에만 집중하는 경우가 많지만, 조금 더 본질적으로 생각했을 때 손목 신전근이 손상되는 이유는, 손목 신전근을 지배하는 후골간신경의 포착에 의한 경우가 많다.

 

즉, 회외근의 긴장이 손목 신전근의 약화를 유발하고, 이렇게 약해진 손목 신전근이 테니스 엘보로도 이어진다는 것이다.  

 

근막 통증

회외근의 긴장은 팔꿈치 바깥쪽 근막 통증 혹은 엄지 손가락쪽 근막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엄지손가락 통증의 경우, 회외근의 긴장으로 인해 후골간신경이 포착되면 무지외전근 또한 약해지기 때문에, 무지외전근의 길항 근육인 무지내전근(Adductor Pollicis)의 과긴장이 나타나는 것으로도 의심해볼 수 있다.  

 

참고

Bentley, J. N., & Yang, L. J. S. (2015). Anatomy of the Posterior Cord and Its Branches. In Nerves and Nerve Injuries (pp. 563-574). Academic Press.

 

Raeburn, K., Burns, D., Hage, R., Tubbs, R. S., & Loukas, M. (2015). Cross sectional sonographic assessment of the posterior interosseous nerve. Surgical and Radiologic Anatomy, 37, 1155-1160.

 

Angin, S., & Simsek, I. (Eds.). (2020). Comparative kinesiology of the human body: normal and pathological conditions. Academic Press.

 

Glover, N. M., & Murphy, P. B. (2018). Anatomy, shoulder and upper limb, radial nerve.

 

Travell, J. G., & Simons, D. G. (1992). Myofascial pain and dysfunction: the trigger point manual (Vol. 2).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https://www.sportsinjurybulletin.com/diagnose--treat/uncommon-injuries-posterior-interosseous-nerve-dysfunction-a-cause-of-lateral-forearm-pain

https://www.sportsmedicineacupuncture.com/supinator-syndrome/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