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살이 잘 찌는 사람, 잘 안 찌는 사람 따로 있다?

 

정말 많은 사람들이 물만 먹어도 살이 찐다는 이야기를 한다.

물론 말이 그렇다는 거지, 사실은 조금만 먹어도 살이 찐다는 얘기일 것이다.

이렇게 조금만 먹어도 살이 찌는 이유 중의 하나는 바로 에너지 흡수량이 높기 때문이다.

 

이 흡수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의 하나는 장관 내 미생물 환경 때문이다.

우리가 음식물을 섭취할 때, 쉽게 생각한다면, --(소장, 대장)을 거치면서 소화되고, 흡수된다.

그 중에서도 영양소 섭취에 큰 부분을 담당하고 있는 부분은 바로 이다.

실제로 비만인 사람과, 정상인 사람의 장내 미생물에 대한 분석 실험 또한 학계에서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심지어 이러한 뚱뚱한 쥐의 장내 미생물을 다른 쥐에게 옮겨 심었을 경우에 체중이 증가하는 실험 또한 진행된 바 있다.[1-4]

 

그렇다면, 정말 장관 내 미생물 환경 이 어떻게 칼로리 섭취에 영향을 미칠까? 현재까지 연구된 결과를 보았을 때에,

대표적으로 지방의 흡수를 억제하고[5], 배출을 촉진시키거나, 혹은 식욕을 억제하는 호르몬의 분비를 도와주는 등의 방법으로 다이어트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있다.
[6-7]

 

, 지방의 흡수와 섭취를 줄여줌으로써, 절대적인 칼로리 섭취량 감소를 유도하고 포만감과 식욕을 억제하는 호르몬의 분비를 촉진시켜서 전반적으로 다이어트에 영향을 미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 (단 미생물의 기전 연구 특성상, 100% 정확하다는 보장은 없다.)

 

그렇다면, 어떤 균들이 몸에 좋은 것일까?, 어떤 균을 먹어야 도움이 되는 것일까?, 현재까지의 연구 결과, 문헌에서는 Lactobacillus families, 유산균을 다이어트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균으로 손꼽았다[5, 8].

하지만 Lactobacillus균 안에서도 여러 가지 균들이 존재한다.

현재 그 중에서도 연구가 많이 된 것은 Lactobacillus Gasseri라는 균이다.

 

-      Lactobacillus Gasseri

현재 가장 연구가 활발한 균 중의 하나이며, Weight Loss , 체중 감소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지금 나타나있다[9-10]. 논문에서는 210명 정도의 사람을 대상으로 Lactobacillus gasseri12주 동안 복용한 사람들을 분석한 결과, 8.5%의 지방 감소효과를 보였다[11].

다만 복용을 중단 하였을 때 감소되었던 지방이 다시 원상태로 복귀되는 것이 추가로 관찰되었기 때문에 꾸준한 복용이 필요할 수 있다.

 

그래서 본인이 살이 정말 잘 찌는 체질이라면, 프로바이오틱스가 다이어트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다만 식이와 운동이 동반되지 않는 한 다이어트는 성공할 수가 없으며, 프로바이오틱스를 먹는다고 하더라도 드라마틱하게 살이 빠지는 경험은 할 수 없으니, 이 점을 꼭 참고해주었으면 좋겠다.

 

프로바이오틱스 제품 

https://newlifehealthcare.co.kr/

 

차세대유산균 포스트바이오틱스 뉴라이프헬스케어

차세대유산균 포스트바이오틱스 뉴라이프헬스케어

newlifehealthcare.co.kr

Reference

[1] Ley, R. E., Turnbaugh, P. J., Klein, S., & Gordon, J. I. (2006). Microbial ecology: human gut microbes associated with obesity. nature, 444(7122), 1022.

[2] Turnbaugh, P. J., Hamady, M., Yatsunenko, T., Cantarel, B. L., Duncan, A., Ley, R. E., ... & Egholm, M. (2009). A core gut microbiome in obese and lean twins. nature, 457(7228), 480.

[3] Turnbaugh, P. J., Ley, R. E., Mahowald, M. A., Magrini, V., Mardis, E. R., & Gordon, J. I. (2006). An obesity-associated gut microbiome with increased capacity for energy harvest. nature, 444(7122), 1027.

[4] Ley, R. E., Turnbaugh, P. J., Klein, S., & Gordon, J. I. (2006). Microbial ecology: human gut microbes associated with obesity. nature, 444(7122), 1022.

[5] Ogawa, A., Kobayashi, T., Sakai, F., Kadooka, Y., & Kawasaki, Y. (2015). Lactobacillus gasseri SBT2055 suppresses fatty acid release through enlargement of fat emulsion size in vitro and promotes fecal fat excretion in healthy Japanese subjects. Lipids in health and disease, 14(1), 20.

[6] Yadav, H., Lee, J. H., Lloyd, J., Walter, P., & Rane, S. G. (2013). Beneficial metabolic effects of a probiotic via butyrate-induced GLP-1 hormone secretion.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88(35), 25088-25097.

[7] Pannacciulli, N., Bunt, J. C., Koska, J., Bogardus, C., & Krakoff, J. (2006). Higher fasting plasma concentrations of glucagon-like peptide 1 are associated with higher resting energy expenditure and fat oxidation rates in humans.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84(3), 556-560.

[8] Hamad, E. M., Sato, M., Uzu, K., Yoshida, T., Higashi, S., Kawakami, H., ... & Imaizumi, K. (2008). Milk fermented by Lactobacillus gasseri SBT2055 influences adipocyte size via inhibition of dietary fat absorption in Zucker rats. British journal of nutrition, 101(5), 716-724.

[9] Miyoshi, M., Ogawa, A., Higurashi, S., & Kadooka, Y. (2014). Anti-obesity effect of Lactobacillus gasseri SBT2055 accompanied by inhibition of pro-inflammatory gene expression in the visceral adipose tissue in diet-induced obese mice. European journal of nutrition, 53(2), 599-606.

[10] Sato, M., Uzu, K., Yoshida, T., Hamad, E. M., Kawakami, H., Matsuyama, H., ... & Imaizumi, K. (2008). Effects of milk fermented byLactobacillusgasseri SBT2055 on adipocyte size in rats. British Journal of Nutrition, 99(5), 1013-1017.

[11] Kadooka, Y., Sato, M., Ogawa, A., Miyoshi, M., Uenishi, H., Ogawa, H., ... & Tsuchida, T. (2013). Effect of Lactobacillus gasseri SBT2055 in fermented milk on abdominal adiposity in adults in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British Journal of Nutrition, 110(9), 1696-170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