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전거근(Serratus anterior)

전거근은 날개뼈 가장 안쪽에 부착된 심부 근육으로, 날개뼈 안정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골반의 안정성뿐만 아니라 어깨와 척추의 움직임, 심지어 호흡 기능에도 관여한다. 
 
전거근의 기능장애는 어깨 통증의 강력한 원인이 되며, 어깨충돌증후군이나 회전근개염 같은 어깨 질환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 
 
그래서 어깨에서 소리가 나거나 통증이 있는 경우, 전거근의 기능을 정상화시켜주면 훨씬 증상이 호전되는 경우가 많다. 지금부터 전거근의 어원, 기능, 해부학, 통증 메커니즘까지 전부 알아보도록 한다.
 

전거근의 어원

전거근(Serratus anterior)은 톱을 의미하는 라틴어 'Serrare'에서 기원한 단어로, 앞쪽(Anterior)에 있는 톱 모양의 근육이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근육 유형

Wolter kluwer 2017

전거근은 날개뼈 안쪽에 부착된 심부 근육으로, 대부분 순발력 근육인 Type 2 근육으로 구성된다. 정확한 비율은 사람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약 60%의 Type 2 근육으로 구성되어 있다. (Smith 2019)
 

기능 단위

전거근은 총 2개의 관절 움직임에 관여한다.
 
- 견갑골 움직임
- 늑골 움직임

🔰 견갑골이 고정되어 있는 경우, 전거근은 늑골을 잡아당겨 흡기(Inspiration) 움직임을 제공한다. (Schünke 2022)

🔰 늑골이 고정되어 있는 경우, 전거근은 견갑골을 잡아당겨 전인(Protraction), 상방회전(Upward roation) 움직임을 제공한다.
 

전거근의 부착 부위

전문가는 각 근육들이 어떤 뼈에 어떻게 부착해서, 어떤 움직임을 만들어내는지 입체적이고 기능적인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해부학자(Anatomist)들이 이야기하는 기시(origin)와 정지(insertion)에 대한 개념으로는 근육의 기능에 대해서 이해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오히려 오해와 혼란을 불러일으킨다. 이 관점은 모두 열린 사슬운동(open chain exercise)의 관점에서만 통용되는 개념이기 때문이다. 

 


실제 인체의 움직임은 실로 자유로우며, 몸통이 고정된 채로 팔이 움직이기도 하고, 팔이 고정된 채로 몸이 움직이기도 한다.(물구나무서기, Closed chain) 
 
따라서 근육은 기시와 정지가 아닌, 위치를 기준으로, 위쪽 부착부위와 아래쪽 부착부위로 나눠서 분류한다. 
 

전거근 섬유

전거근은 상부, 중간, 하부 섬유로 구분할 수 있다.

Meininger 2011, upper (U), intermediate (I), and lower (L) /  Schünke  2005

 

🔰 1st to 2nd rib → superior angle of scapula (전거근의 상부 섬유는 날개뼈 상부에서 1,2번 갈비뼈까지 이어진다.) 

 

🔰 2nd to 3rd rib → medial border of scapula (전거근의 중부 섬유는 날개뼈 중부에서 2,3번 갈비뼈까지 이어진다.)

 

🔰 4th to 9th rib → medial border and inferior angle of scapula (전거근 하부 섬유는 날개뼈 하부에서 4~9번 갈비뼈까지 이어진다)

 

신경지배

Olamikan 2016

전거근은 장흉신경에 의해 지배되며, 장흉신경은 상완신경총의 C5, C6, C7에서 분지된다.
 

전거근의 기능

전거근의 주요 기능은 크게 2가지로, 하나는 날개뼈를 흉곽에 밀착시켜 어깨 복합체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며, 두 번째는 늑골을 잡아당겨 호흡을 보조하는 것이다. 

 

날개뼈 안정화

전거근은 매우 강력한 날개뼈 전인(Protraction) 근육이며, 날개뼈를 흉곽에 밀착시켜 줌으로써 날개뼈 안정성을 크게 증가시켜 준다.
 

호흡 보조

Tewarie 2012

호흡은 숨을 들이쉬는 흡기(Inspiration)와 숨을 내뱉는 호기(Expiration)로 나뉘는데, 흡기 중에는 반드시 늑골이 외측으로도, 전방으로도 확장되어야 한다. 

 

그리고 전거근은 늑골(1~9번)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수축 시 늑골을 잡아당겨 늑골이 확장되는데 크게 기여하게 된다. 
 
다만 전거근은 Type 2 위주로 구성된 근육이기 때문에, 이러한 호흡 보조 기능은 단거리 달리기처럼 폭발적인 호흡이 필요할 때 주로 활용될 것이다. 
 

전거근의 통증

전거근의 긴장은 등 깊숙한 곳에서 답답한 느낌이 드는 통증을 유발하며, 어깨 안정성에 치명적인 문제를 일으켜 어깨충돌증후군이나 회전근개염 같은 어깨 질환을 유발하기도 한다.

 

Travell 1992

근육근막경선

근육근막경선(Myofacial merinian)이란, 힘줄과 근육에서 나타나는 일련의 연결된 주행 경로를 의미한다.

 

전거근을 살펴보면 여러 근육들이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명확히 관찰할 수 있는데, 아래쪽으로는 외복사근(External abdominal oblique)이, 위쪽으로는 능형근(Rhomboids)이 연결되어 있다. 

Nasu 2012

🔰 전거근의 위쪽으로 이어지는 능형근은 판상근(Splenius)으로 이어지며,

Myers 2009

🔰 전거근의 아래쪽으로 이어지는 외복사근은 복부 근막(Peritoneal fascia)을 통해 반대쪽 내복사근(Internal oblique)까지 이어진다. 

  Myers 2009

 

참고

Costantini, O. (2011). Serratus Anterior Muscle Fatigue Effects on Scapular Kinematics (Doctoral dissertation, The Ohio State University).

 

Lung, K., St Lucia, K., & Lui, F. (2018). Anatomy, thorax, serratus anterior muscles.

 

Smith, S. H., Reilly, P., & Bull, A. M. (2019). Serratus anterior weakness is a key determinant of arm assisted standing difficulties. Medical Engineering & Physics, 74, 41-48.

 

Tewarie, L. S., Menon, A. K., Hatam, N., Amerini, A., Moza, A. K., Autschbach, R., & Goetzenich, A. (2012). Prevention of sternal dehiscence with the Sternum External Fixation (Stern-E Fix) corset a randomized trial in 750 patients. Journal of cardiothoracic surgery, 7(1), 1-8.

 

Schünke, M., Schulte, E., Schumachaer, U., Rude, J., Voll, M., & Wesker, K. (2022). Allgemeine Anatomie und Bewegungssystem. (No Title).

 

Meininger, A. K., Figuerres, B. F., & Goldberg, B. A. (2011). Scapular winging: an update. JAAO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Orthopaedic Surgeons, 19(8), 453-462.

 

Travell, J. G., & Simons, D. G. (1992). Myofascial pain and dysfunction: the trigger point manual (Vol. 2).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Nasu, H., Yamaguchi, K., Nimura, A., & Akita, K. (2012). An anatomic study of structure and innervation of the serratus anterior muscle. Surgical and radiologic anatomy, 34, 921-928.

 

Schünke, M. & Schulte, E. & Schumacher, U. (2005). Prometheus – Lernatlas der Anatomie. Stuttgart: Thieme.

 

Kim, D., & Park, S. (2004). Feasibility of latissimus dorsi and serratus anterior muscle sparing vertical thoracotomy in general thoracic surgery. Interactive CardioVascular and Thoracic Surgery, 3(3), 456-459.

 

Myers, T. W. (2009). Anatomy trains: myofascial meridians for manual and movement therapists. Elsevier Health Sciences.

 

Olamikan, S., & Karl, H. W. (2016). Long thoracic nerve entrapment. Peripheral nerve entrapments: clinical diagnosis and management, 291-303.

 

https://www.wolterskluwer.com/en

 

 

 

 

 

'근골격계 질환 > 등 통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등 통증과 연관된 근육들  (0) 2023.10.06
사각근의 해석  (0) 2023.08.24
사각근과 통증  (0) 2023.08.23
등이 아픈 이유(통증유발점)  (3) 2018.03.2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