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근골격계 질환/어깨 통증

승모근(Trapezius)

Healthknowledge 2023. 8. 14. 11:27

승모근(Trapezius)

승모근은 우리 몸에서 매우 커다란 근육 중 하나로, 두개골, 견갑골, 경추, 흉추, 쇄골까지 수많은 뼈에 부착되어 여러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이러한 구조 덕분에, 승모근에 문제가 생기면 어깨 통증 뿐만 아니라 목 통증, 두통, 등 통증 등 아주 다양한 부위의 통증 및 기능장애로 이어지며, 실제로 어깨충돌증후군이나 목디스크가 있는 환자들을 보면 거의 대부분 승모근의 기능장애가 동반되어 있다.
 
지금부터 승모근의 어원, 기능, 해부학, 통증 메커니즘까지 전부 알아보도록 한다. 
 

승모근의 어원

승모근은 사다리꼴 모양으로 생겼다고 해서 trapezoid(사다리꼴)에서 기원한 Trapezius라고 불린다. (1704 라틴어 trapezoid에서 기원)
 

근육 유형

등쪽에 부착한 가장 표면부위 근육이며, 대부분 지구성 근육인 type 1 근육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세 유지 근육)
 

기능 단위

승모근은 총 4개의 관절 움직임에 관여한다.

- 목뼈 움직임
- 쇄골뼈 움직임
- 날개뼈 움직임
- 두개골 움직임

승모근은 쇄골, 날개뼈, 척추뼈뿐만 아니라 두개골까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목 어깨 근골격계 질환에 있어서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근육이다.

승모근 해부학

전문가는 각 근육들이 어떤 뼈에 어떻게 부착해서, 어떤 움직임을 만들어내는지 입체적이고 기능적인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해부학자(Anatomist)들이 이야기하는 기시(origin)와 정지(insertion)에 대한 개념으로는 근육의 기능에 대해서 이해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오히려 오해와 혼란을 불러일으킨다.


이 관점은 모두 열린사슬운동(open chain exercise)의 관점에서만 통용되는 개념이기 때문이다. 

실제 인체의 움직임은 실로 자유로우며, 몸통이 고정된 채로 팔이 움직이기도 하고, 팔이 고정된 채로 몸이 움직이기도 한다.(물구나무서기, Closed chain)

해부학자가 아니라, 운동 전문가라면 기시와 정지에 대한 개념을 내려놓고, 보다 자유롭게 사고하고 받아들일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근육은 기시와 정지가 아닌, 영역과 기능을 기준으로 상부승모근, 중부승모근, 하부승모근으로 나눠서 위쪽 부착부위와 아래쪽 부착부위로 분류한다. 
 

상부승모근

상부승모근은 위쪽 부착 부위는 4개 부위에서 시작해서
- External occipital protuberance(외후두돌기)
- Superior nuchal line(상부목덜미선의 내측부 1/3)
- Ligamentum nuchae(목덜미인대)
- Spinous process of the seventh cervical vertebrae(목뼈 1~7번의 극돌기)

아래쪽 부착부위는 총 3개 부위로 이어진다. 
- Lateral 1/3rd of the posterior clavicle(쇄골의 후면의 바깥쪽 1/3)
- Superior acromioclavicular ligament (AC 인대의 상부)
- Margin of the acromion(견봉의 가장자리)
 

중부승모근

중부승모근은 위쪽 부착부위는 총 2개 부위로 시작해서
- T1~T5 interspinous ligaments (흉추 1~5번까지의 극간인대)
- T1~T5 Spinous processes (흉추 1~5번까지의 극돌기)
 
아래쪽 부착부위는 Spine of the scapula(견갑극)까지 이어진다.   
 

하부승모근

하부승모근은 위쪽 부착부위는 총 2개 부위로 시작해서
- T6~T12 interspinous ligaments (흉추 6~12번까지의 극간인대)
- T6~T12 Spinous processes (흉추 6~12번까지의 극돌기)
 
아래쪽 부위는 총 2개 부위로 이어진다.
- Root of the spine of the scapula(견갑극의 시작부위)
- Deltoid tubercle of spine of scapula (견갑극의 삼각근결절)
 

승모근의 신경지배

승모근은 신경 손상에 의해서도 기능장애가 생길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장애는 부상 혹은 지배하는 신경의 주행경로에 특정 연부조직이 긴장되어 있는 경우 나타날 수 있다.
 
특히 같은 신경의 지배를 받는 근육들은 항상 같이 긴장되고 같이 약화되니 이 또한 참고해야 한다. (즉 승모근의 긴장은 항상 흉쇄유돌근의 긴장으로도 이어진다)
 

운동신경 지배

승모근의 운동 신경은 11번 뇌신경인 부신경(Accessory nerve)의 지배를 받는다. 
 
부신경은  C1~C5까지의 신경근에서 시작하여 위쪽으로 주행하여 대후두공을 통해 두개강으로 들어간다. 그리고 경동맥을 따라 내려와 흉쇄유돌근(Sternocleidomastoid)에 도달하고, 흉쇄유돌근을 지배한다. 
 
그리고 posterior triangle of the neck에 도달하여 승모근(Trapezius)까지 이어지며, 승모근도 함께 지배하게 된다. 

부신경 손상

부신경이 손상되면, 손상된 부위의 어깨가 내려가거나 어깨를 들어 올렸을 때 날개뼈가 붕 뜨는 증상이 나타난다. 또한 상부승모근이 위축(Atrophy)되어, 겉으로 보기에 쪼그라드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특히 날개뼈를 안쪽으로 잡아주는 상부승모근의 긴장이 풀림에 따라, 날개뼈가 과도하게 바깥쪽으로 벌어지기도 한다. 

손상 기전
- 부신경은 교통사고(추돌사고), 목 수술 등을 통해 손상될 수 있다. 
- 부신경이 주행하는 어떤 경로든, 신경을 압박하는 부위가 있다면 부신경의 기능은 저하되거나 손상된다.
(상부승모근, SCM의 긴장 또한 대표적인 부신경 압박 원인이다)
 

감각신경 지배

감각신경에 문제가 생기면, 운동기능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승모근에서 들어오는 감각정보가 교란되면 운동 기능 또한 손상되기 때문이다.
 

승모근의 감각은 경추 신경근 3번, 4번에서 분지된 감각신경들에 의해 지배되며, 이 신경들은 목 디스크나 협착증 등에 의해 압박될 수 있다. 
 
참고로 경추 3번 4번이 압박되는 경우, 오른쪽 사진처럼 해당 피부 분절에 이상감각이 나타나게 된다.
 

승모근의 기능 및 기능장애

승모근의 기능은 구조와 마찬가지로 총 3개로 분류된다. 상부승모근의 기능, 중부승모근의 기능, 하부승모근의 기능
 
이 중 상부승모근은 날개뼈, 쇄골, 두개골, 목뼈에 부착하여 총 3개 관절에 움직임을 만들어내며, 각각의 관절 움직임에 따른 기능과 기능장애에 대해서 살펴본다. 
 
중부승모근, 하부승모근은 날개뼈, 등뼈에 부착하여 총 2개 관절에 움직임을 만들어내며, 각각의 관절 움직임에 따른 기능과 기능장애에 대해서 살펴본다. 
 

상부승모근과 날개뼈 움직임

상부승모근의 날개뼈 움직임 기능
1 날개뼈를 들어 올린다. (Elevation)
2 상방회전 시킨다. (Upward rotation)
3 전방경사 시킨다. (Anterior tilt)
4 날개뼈가 하강하는 걸 억제한다. 
 
상부승모근과 날개뼈 움직임 기능장애
각각의 기능은 독립적으로 발생하지 않으며, 특정 근육이 약해지면 상호 보완하는 관계로 기능한다.
EX) 상부승모근이 약해지면 아래 기술하는 모든 근육들이 그 기능을 대신하기 위하여 보상성 긴장(Tension)이 나타난다. 
 
또한 반대 기능을 하는 근육들이 과활성화된 경우에도 그 기능을 억제하기 위하여 긴장성 긴장(Tension)이 나타난다.
 
거상(Elevation) 근육군

<협력 근육군>
1 견갑거근 (Levator scapulae)
2 능형근(Rhomboid muscles) 
3 상부승모근 (Upper trapezius)
보조 - 회전근개 (rotator cuff)
 
<반대 근육군>
1 광배근 (Latissimus dorsi) => 상완골을 아래로 잡아당겨 간접적으로 날개뼈의 하강을 유도한다. 
2 흉근 (Pec muscles) => 대흉근은 상완골과 쇄골을 아래로 잡아당겨 날개뼈의 하강을 유도하며, 소흉근은 오훼돌기을 아래로 잡아당겨 날개뼈의 하강을 유도한다. 
3 전거근 (Serratus anterior)
 
상방회전(Upward rotation) 근육군

<협력 근육군>
1 상부승모근 (Upper trapezius)
2 전거근 (Serratus anterior)
3 하부승모근 (Lower trapezius)
보조 - 회전근개 (rotator cuff)

<반대 근육군>
1 광배근 (Latissimus dorsi) => 상완골을 하강하여, 날개뼈바깥쪽이 아래로 하강하도록 유도한다.
2 견갑거근 (Levator scapulae)
3 능형근 (Rhomboid muscles) 
4 흉근 (Pec muscles)  
 
날개뼈를 상방회전 시키는 기능은 어깨충돌증후군(링크)과 매우 밀접한 연관이 있다. (2014 Lawrence, R. L et al)
 
날개뼈 전방경사(Anterior tilt) 근육군

<협력 근육군>
오훼돌기나 견봉에 부착하여, 날개뼈를 앞쪽으로 당겨주는 근육들
1 소흉근 (Pec minor)
2 상부승모근 (Upper trapezius)
3 오훼완근 (Coracoidbrachialis)
4 이두근 단두 (Biceps short head)
 
<반대 근육군>
날개뼈를 후방경사 시켜주는 대표적인 근육은 LT, SA로 2개로 구분된다. (2021 Kim et al.) 
1 하부승모근 (Lower trapezius) 
2 전거근 (Serratus anterior)
 

상부승모근과 쇄골 움직임

상부승모근의 쇄골 움직임 기능
- AC 관절이 하강하는 걸 억제한다. 
- 쇄골을 후방회전 시킨다. (Posterior rotation) + 쇄골을 들어 올린다. (Elevation)

상부승모근과 쇄골 움직임 기능장애
쇄골을 후방경사 + 거상 시키는 기능은 어깨충돌증후군(링크)과 매우 밀접한 연관이 있다. (2016 Neumann, D. A.)
 
쇄골을 후방회전 + 거상(Posterior rotation + Elevation) 근육군

<협력 근육군>
- 상부승모근 (Upper trapezius)
- 흉쇄유돌근 (Sternocleidomastoid)
 
<반대 근육군>
- 전면 삼각근 (Deltoid) 
- 대흉근 쇄골섬유 (Pectoralis major)


 * 위쪽에서 바라봤을 때 뒤쪽에 위치한 근육들(상부승모근과 흉쇄유돌근)이 쇄골을 후방경사 시키면서 뒤로 당겨주는 역할을 하고, 앞쪽에 위치한 근육들(대흉근과 삼각근)이 쇄골을 전방경사 시키면서 앞으로 당겨주는 역할을 한다.
 
(참고 D: Deltoid 삼각근 / PM: Pectoralis major 대흉근 / T: Trapezius 승모근 / SM: Sternocleidomastoid  흉쇄유돌근) 

상부승모근과 목뼈 움직임

상부승모근의 목뼈 움직임 기능
- 목을 반대쪽으로 회전 시킨다.
- 목을 신전 시킨다.
- 목을 동측으로 측굴 시킨다. 
- 목뼈가 과도하게 숙여지지 않도록 억제한다. 
 
상부승모근의 목뼈 움직임 기능장애
목뼈 근육은 작은 움직임을 주로 조절하는 Local 근육과, 큰 근육을 주로 조절하는 Global 근육으로 구분한다.
일반적으로 Local 근육이 제 기능을 못하는 경우, Global 근육이 보상적으로 긴장하게 된다.
 
목 회전, 신전, 측굴 근육군

<Global muscle>
이 근육군들은 모두 목을 회전, 신전, 측굴 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 상부승모근 (Upper trapezius)
- 흉쇄유돌근 (SCM)
- 두판상근,경판상근 (Splenius capitis and cervicis)
- 두반극근, 경반극근 (Semispinalis capitis and cervicis)
- 견갑거근 (Levator scapulae)

<Local muscle>
이 근육군들은 모두 목을 회전, 신전, 측굴 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 후두하근 (Suboccipital muscle)
- 경추부 다열근 (Cervicis Multifidus)
- 사각근 (Scalene anterior)


중부승모근과 날개뼈 움직임

중부승모근의 날개뼈 움직임 기능
- 날개뼈를 모아주고 외회전 시킨다. (Retraction + External rotation)
- 날개뼈가 벌어지는 걸 억제한다. 
 
중부승모근의 날개뼈 움직임 기능장애
각각의 기능은 독립적으로 발생하지 않으며, 특정 근육이 약해지면 상호 보완하는 관계로 기능한다.
EX) 중부승모근이 약해지면 아래 기술하는 모든 근육들이 그 기능을 대신하기 위하여 보상성 긴장(Tension)이 나타난다. 
 
또한 반대 기능을 하는 근육들이 과활성화된 경우에도 그 기능을 억제하기 위하여 긴장성 긴장(Tension)이 나타난다
 
날개뼈 후인, 외회전 (Retraction + External rotation) 근육군

<협력 근육군>
- 능형근 (Rhomboids)
- 광배근 (Latissimus dorsi)
- 중부 승모근 (Middle trapezius)

<반대 근육군>
- 소흉근 (Pectoralis minor) 
- 전거근 (Serratus anterior)
 

중부승모근과 등뼈 움직임

중부승모근의 등뼈 움직임 기능
등뼈를 회전시킨다. (날개뼈 고정 시)
 
중부승모근의 등뼈 움직임 기능장애
등뼈 근육은 작은 움직임을 주로 조절하는 Local 근육과, 큰 근육을 주로 조절하는 Global 근육으로 구분한다.
일반적으로 Local 근육이 제 기능을 못하는 경우, Global 근육이 보상적으로 긴장하게 된다.
 
등뼈를 회전 시키는 기능 (Rotation) 근육군
등뼈를 회전시키는 근육은 세분화하면 더욱 많지만, 본 게시물에서는 주요 근육만 표기하겠습니다.  

<Global muscle>
- 외복사근 내복사근 (External + Internal oblique)
- 중부승모근 (Middle trapezius)
- 광배근 (Latissimus dorsi)
- 표면기립근 (Erector spinae superficial layer) 

<Local muscle>
- 심부기립근 (Erector spinae deep layer)
- 능형근 (Rhomboids)


하부승모근과 날개뼈 움직임

하부승모근의 날개뼈 움직임 기능
- 날개뼈를 하강(Depression) 시킨다.
- 날개뼈를 상방회전(Upward rotation) 시킨다. 
- 날개뼈를 후방경사(Posterior tilit) 시킨다.
- 날개뼈가 상승하는 걸 억제한다. 
 
하부승모근의 날개뼈 움직임 기능장애
각각의 기능은 독립적으로 발생하지 않으며, 특정 근육이 약해지면 상호 보완하는 관계로 기능한다.
EX) 하부승모근이 약해지면 아래 기술하는 모든 근육들이 그 기능을 대신하기 위하여 보상성 긴장(Tension)이 나타난다. 
 
또한 반대 기능을 하는 근육들이 과활성화된 경우에도 그 기능을 억제하기 위하여 긴장성 긴장(Tension)이 나타난다.
 
날개뼈 하강(Depression)근육군

<협력 근육군>
- 광배근 (Latissimus dorsi) 
- 흉근 (Pec muscles) 
- 전거근 (Serratus anterior) 
- 하부승모근 (Lower trapezius)
 
<반대 근육군>
- 견갑거근 (Levator scapulae)
- 능형근(Rhomboid muscles) 
- 상부승모근 (Upper trapezius)
 
날개뼈 상방회전(Upward rotation)근육군

<협력 근육군>
- 상부승모근 (Upper trapezius)
- 전거근 (Serratus anterior)
- 하부승모근 (Lower trapezius)
보조 - 회전근개 (rotator cuff)

<반대 근육군>
- 광배근 (Latissimus dorsi) => 상완골을 하강하여, 날개뼈 바깥쪽이 아래로 하강하도록 유도한다.
- 견갑거근 (Levator scapulae)
- 능형근 (Rhomboid muscles) 
- 흉근 (Pec muscles)
 
날개뼈 후방경사(Posterior tilt)근육군

<협력 근육군>
- 하부승모근 (Lower trapezius)
- 전거근 (Serratus anterior)

<반대 근육군>
- 소흉근 (Pec minor)
- 상부승모근 (Upper trapezius)
- 오훼완근 (Coracoidbrachialis)
- 이두근 단두 (Biceps short head)
 

하부승모근과 등뼈 움직임 

하부승모근의 등뼈 움직임 기능
등뼈를 회전시킨다. (날개뼈 고정 시)
 
하부승모근의 등뼈 움직임 기능장애
등뼈 근육은 작은 움직임을 주로 조절하는 Local 근육과, 큰 근육을 주로 조절하는 Global 근육으로 구분한다.
일반적으로 Local 근육이 제 기능을 못하는 경우, Global 근육이 보상적으로 긴장하게 된다.
 
등뼈 회전(Rotation) 근육군
등뼈를 회전시키는 근육은 세분화하면 더욱 많지만, 본 게시물에서는 주요 근육만 표기하였다.   

<Global muscle>
- 외복사근 내복사근 (External + Internal oblique)
- 중부승모근 (Middle trapezius)
- 광배근 (Latissimus dorsi)
- 표면기립근 (Erector spinae superficial layer) 

<Local muscle>
- 심부기립근 (Erector spinae deep layer)
- 능형근 (Rhomboids)
 

승모근의 통증 

승모근의 긴장은 다양한 영역에서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다만 대부분의 통증이 상부승모근에 의해 통증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외후두돌기와 통증

상부승모근은 External occipital protuberance(외후두돌기), Superior nuchal line(상부목덜미선의 내측부 1/3)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부위에는 대후두신경이 지나가게 되는데, 이는 상부승모근이 긴장되면 대후두신경 또한 압박될 수 있다는 뜻이다.  (2022 Yu, M. et al)

이러한 이유로, 상부승모근의 긴장은 뒷골이 당긴다. 즉 뒤통수쪽 두통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경우 상부승모근의 긴장을 풀어주면 자연스럽게 두통도 해소된다. 
 

AC인대와 통증

상부승모근은 Acromioclavicular ligament의 상부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부승모근이 긴장되면 날개뼈와 쇄골을 이어주는 인대들은 상대적으로 늘어나는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즉, Coracoacromial ligament와 Coracoclavicular ligament가 점점 손상되는 것이다.  

실제로 상부승모근은 AC 관절의 안정성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승모근의 기능장애는 AC관절의 부상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2022 Trudeau, M. T. et al)
 
이 경우 AC 관절 주변에서 지속적인 통증이 발생하며, 수면 도중 어깨인대가 늘어나는 순간 통증으로 깨는 상황도 발생하게 된다.

통증유발점

특정 근육의 약화로 인해 보상적으로 근육이 긴장하든, 반대 기능을 하는 근육의 과활성화로 인해 긴장하든, 근육이 긴장되면 나타나는 통증은 동일하다.

다만 승모근이 긴장되었을 때 나타나는 통증의 양상을 살펴보면 흉쇄유돌근(SCM), 능형근(Rhomboids)과 견갑거근(Levator scapulae), 극상근(Supraspinatus)의 통증 양상과 매우 유사하다.
 
실제로 승모근이 제 기능을 못하게 되는 경우, 아래 4가지 근육은 모두 보상적으로 수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보상성 수축이 근육의 과부하로 이어져서 통증으로까지 나타나는 건 드문 일이 아니다. 
 

한 번 진지하게 생각해보라. 승모근의 통증이 정말 승모근의 긴장에 의해서 나타난 걸까?
이를 명확히 구분하기 위해서는 평가가 필요할 것이다. 
 
승모근의 통증과 관련한 좀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
🔗 승모근과 통증
 

참고

Kelley, M. J., Kane, T. E., & Leggin, B. G. (2008). Spinal accessory nerve palsy: associated signs and symptoms. journal of orthopaedic & sports physical therapy38(2), 78-86.
 
David G. Simons, Janet Travell, Lois S. Simons, Travell & Simmons’ Myofascial Pain and Dysfunction, The Trigger Point Manual, Volume 1. Upper Half of Body: Second Edition,© 1999 Williams and Wilkens
 
Cowan, P. T., Mudreac, A., & Varacallo, M. (2018). Anatomy, back, scapula.
 
Herteleer, M., Vancleef, S., Herijgers, P., Duflou, J., Jonkers, I., Vander Sloten, J., & Nijs, S. (2019). Variation of the clavicle’s muscle insertion footprints–a cadaveric study. Scientific Reports9(1), 16293.
 
Cools, A. M., Struyf, F., De Mey, K., Maenhout, A., Castelein, B., & Cagnie, B. (2014). Rehabilitation of scapular dyskinesis: from the office worker to the elite overhead athlete.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48(8), 692-697.
 
Worsley, P., Warner, M., Mottram, S., Gadola, S., Veeger, H. E. J., Hermens, H., ... & Stokes, M. (2013). Motor control retraining exercises for shoulder impingement: effects on function, muscle activation, and biomechanics in young adults. Journal of shoulder and elbow surgery22(4), e11-e19.
 
Kim, S. Y., Yu, I. Y., Oh, J. S., & Kang, M. H. (2021). Effects of intended scapular posterior tilt motion on trapezius muscle electromyography activity.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18(17), 9147.
 
Imazato, H., Takahashi, N., Sawaguchi, A., Hirakawa, Y., Yamaguchi, Y., Hiyoshi, M., ... & Chosa, E. (2023). Insertion sites of the muscles attached to the clavicle: a cadaveric study of the clavicle. BMC Musculoskeletal Disorders24(1), 160.
 
Lawrence, R. L., Braman, J. P., LaPrade, R. F., & Ludewig, P. M. (2014). Comparison of 3-dimensional shoulder complex kinematics in individuals with and without shoulder pain, part 1: sternoclavicular, acromioclavicular, and scapulothoracic joints. journal of orthopaedic & sports physical therapy44(9), 636-645.
 
Neumann, D. A. (2016). Kinesiology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e-book: foundations for rehabilitation. Elsevier Health Sciences.
 
Sugaya, T., Sakamoto, M., Nakazawa, R., & Wada, N. (2016). Relationship between spinal range of motion and trunk muscle activity during trunk rotation.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28(2), 589-595.
 
Yu, M., & Wang, S. M. (2022). Anatomy, head and neck, occipital nerves. In StatPearls [Internet]. StatPearls Publishing.
 
Trudeau, M. T., Peters, J. J., Hawthorne, B. C., Wellington, I. J., LeVasseur, M. R., Mancini, M. R., ... & Mazzocca, A. D. (2022). The role of the trapezius in stabilization of the acromioclavicular joint: A biomechanical evaluation. Orthopaedic Journal of Sports Medicine10(9), 23259671221118943.
 
https://clinicalgate.com/thoracic-dorsal-spine/
https://www.getbodysmart.com/wp-content/uploads/2017/06/external-occipital-protuberance-labeled-1024x800.png
https://teachmeanatomy.info/wp-content/uploads/External-Surface-of-Occipital-Bone.png
https://clinicalanatomy.com/images/MTD/LargeImages/Head_1_lg.jpg
https://encrypted-tbn0.gstatic.com/images?q=tbn:ANd9GcSgdcj_z-OutJqH8MTTTexItOolyQUVnXfmZg&usqp=CAU 
https://www.google.com/url?sa=i&url=https%3A%2F%2Fmusculoskeletalkey.com%2Fintramedullary-fixation-of-clavicle-fractures%2F&psig=AOvVaw38Sj_tXGGoBn4_E1bzxQTA&ust=1692053789789000&source=images&cd=vfe&opi=89978449&ved=0CBEQjRxqFwoTCLi9hN3d2oADFQAAAAAdAAAAABAE 
https://www.windsorupperlimb.com/data/images/Acromio%20joint%202.png
https://physio-study.com/wp-content/uploads/2023/06/Middle-Trapezius-Fibers-origin-insertion.jpg
https://encrypted-tbn0.gstatic.com/images?q=tbn:ANd9GcSK8SgR0LnIxAaCXde8sK2x712M3vaxkKcvF-tu1h8s6DKtg2nVR8DoySBw6k_kCId-jn8&usqp=CAU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e/e3/Deltoid_tubercle_of_spine_-_left_scapula01.png
https://mobilephysiotherapyclinic.in/wp-content/uploads/2020/07/SPINAL-ACCESSORY-NERVE-2.jpghttps://images.squarespace-cdn.com/content/v1/5b4e58369d5abb9d6adac232/1579518965463-EGNJ4TFGJNR58GOWDCDV/Figure_6.18_Scapular_depression_elevation_copy.png

'근골격계 질환 > 어깨 통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배근(Latissimus dorsi)  (0) 2023.10.03
승모근과 통증  (0) 2023.08.20
익상 견갑 재활  (1) 2022.09.27
오십견 재활  (1) 2022.04.10
어깨충돌증후군 재활  (0) 2022.01.1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