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광배근(Latissimus dorsi)
광배근은 우리 몸에서 가장 크고 넓게 부착되어 있는 등 근육으로, 골반의 안정성뿐만 아니라 어깨와 척추의 움직임, 심지어 호흡 기능에도 관여한다.
광배근의 긴장은 흉요근막의 긴장도를 증가시켜 허리 통증을 유발할 수 있고, 어깨를 아래로 잡아당겨 어깨충돌증후군 같은 근골격계 질환 또한 유발할 수 있다.
그래서 허리가 아프거나 어깨에서 소리가 나는 경우, 광배근이 과도하게 긴장하지 않도록 만들어주면 훨씬 증상이 호전되는 경우가 많다.
지금부터 광배근의 어원, 기능, 해부학, 통증 메커니즘까지 전부 알아보도록 한다.
광배근의 어원
광배근(Latissimus dorsi)은 등에 있는 가장 넓직한 근육을 의미하는 라틴어 'Musculus latissimus dorsi'에서 기원한 단어로, 이는 말 그대로 넓은 등 근육이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근육 유형
광배근(LD)은 등쪽에 위치한 가장 표면부 근육으로, 대부분 순발력 근육인 Type 2 근육으로 구성된다. 정확한 비율은 사람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약 67%의 Type 2 근육으로 구성되어 있다. (Park 2013)
기능 단위
광배근은 총 4개의 관절 움직임에 관여한다.
- 상완골 움직임
- 늑골 움직임
- 골반 움직임
- 척추 움직임
🔰 골반이 고정되어 있는 경우, 광배근은 상완골을 잡아당겨 내회전(Internal rotation), 신전(Extension), 내전(Adduction)움직임을 제공한다.
🔰 상완골이 고정되어 있는 경우, 광배근은 늑골을 잡아당겨 흡기(Inspiration) 움직임을 제공한다. (Haninec 2009)
🔰 상완골이 고정되어 있는 경우, 광배근은 골반을 잡아당겨 측굴(Side bending), 회전(Rotation) 움직임을 제공한다.
🔰 상완골이 고정되어 있는 경우, 광배근은 척추뼈 잡아당겨 측굴(Side bending), 회전(Rotation) 움직임을 제공한다.
광배근의 부착 부위
전문가는 각 근육들이 어떤 뼈에 어떻게 부착해서, 어떤 움직임을 만들어내는지 입체적이고 기능적인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해부학자(Anatomist)들이 이야기하는 기시(origin)와 정지(insertion)에 대한 개념으로는 근육의 기능에 대해서 이해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오히려 오해와 혼란을 불러일으킨다. 이 관점은 모두 열린 사슬운동(open chain exercise)의 관점에서만 통용되는 개념이기 때문이다.
실제 인체의 움직임은 실로 자유로우며, 몸통이 고정된 채로 팔이 움직이기도 하고, 팔이 고정된 채로 몸이 움직이기도 한다.(물구나무서기, Closed chain)
따라서 근육은 기시와 정지가 아닌, 위치를 기준으로, 위쪽 부착부위와 아래쪽 부착부위로 나눠서 분류한다.
위쪽 부착부위
광배근의 위쪽 부착부위는 상완골에 위치한다.
🔰 Intertubercular groove of the humerus (상완골의 결절사이고랑)
아래쪽 부착부위
광배근의 아래쪽 부착부위는 견갑골과 흉추, 갈비뼈, 흉요근막, 장골, 천골에 위치한다.
🔰 Inferior angle of scapula (견갑골 하각)
🔰 Spinous processes of last six thoracic vertebrae (6~12번 흉추 극돌기)
🔰 Last three or four ribs (9~12번 갈비뼈)
🔰 Thoracolumbar fascia (흉요근막)
🔰 Posterior iliac crest (후장골능)
🔰 Sacrum (천골)
신경지배
광배근은 흉배신경에 의해 지배되며, 흉배신경은 상완신경총의 C6, C7, C8에서 분지 된 후방 속(Posterior cord)에서 분지 된다.
광배근의 기능
광배근의 주요 기능은 크게 3가지로, 하나는 보행 중 대둔근의 수축을 보조하고 팔을 신전시켜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며, 두 번째는 상완골을 내회전 하고 신전하고 내전 시키는 기능이며, 마지막으로 세 번째는 늑골을 잡아당겨 호흡을 보조하는 것이다.
보행
보행(gait)은 얼핏 보기에 다리를 앞뒤로 움직이기만 하면 될 것 같지만,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상체 움직임이 동반되어야 한다.
그리고 하체와 상체 움직임의 연결고리 기능을 하는 게 바로 광배근이다.
광배근(LD)은 흉요근막(LF)을 통해 반대쪽 대둔근(GM)과 연결되며, 대둔근은 다리를 뒤로 뻗어서 몸을 앞으로 추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들면 오른쪽 대둔근은 오른쪽 다리를 뒤로 뻗어주고, 왼쪽 광배근은 왼쪽 팔을 뒤로 뻗어주는 식으로 기능하는 것이다.
실제로 보행을 관측해보면 팔 다리가 서로 교차하며 뒤로 뻗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시스템은, 다리의 움직임이 반대쪽 팔의 움직임을 돕고, 팔의 움직임이 반대쪽 다리의 움직임을 돕기 때문에, 매우 효과적으로 운동에너지를 재활용할 수 있게 된다.
상완골 움직임
광배근은 매우 강력한 어깨 신전(Extension), 하강(Depression)근육이며, 이러한 움직임을 수행할 때 매우 강력한 힘을 발휘한다.
예를 들면 휠체어를 움직일 때 팔을 뒤로 뻗는 경우, 혹은 팔로 의자를 밀어서 일어설 때 광배근은 매우 강력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광배근의 상완골 움직임은 아래 영상을 참고해보면, 실제 광배근의 수축이 어떤 움직임에 관여하는지 보다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호흡 보조
호흡은 숨을 들이쉬는 흡기(Inspiration)와 숨을 내뱉는 호기(Expiration)로 나뉘는데, 흡기 중에는 반드시 늑골이 외측으로도, 전방으로도 확장되어야 한다.
그리고 광배근은 하부 늑골(10, 11, 12번)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수축 시 하부 늑골을 잡아당겨 늑골이 외측으로 확장되는데 크게 기여하게 된다.
다만 광배근은 Type 2위주로 구성된 근육이기 때문에, 이러한 호흡 보조 기능은 단거리 달리기 처럼 폭발적인 호흡이 필요할 때 주로 활용될 것이다.
광배근의 통증
광배근의 긴장은 어깨 통증과 허리 통증, 내측 팔꿈치 통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광배근 통증의 원인과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진 게 없지만, Boyle의 연구에 따르면 고대인의 흔적인 배활차근(Dorsoepitrochlearis)가 약 5%의 인구에게서 나타나며, 이러한 배활차근은 광배근의 광배근에서 분지되어 겨드랑이를 관통하고 내측 상과에서 척골의 주두돌기까지 이어진다. (Bergman 1988)
필자가 생각하기엔, 이러한 흔적이 독립된 근육의 형태로 남아 있는 사람들은 약 5%에 불과하지만, '부드러운 섬유 연결(soft fibrous link)' 같이 아주 미세한 형태로 남아 있는 경우는 훨씬 더 많은 비율을 차지할 것이라 생각한다. (매우 오래된 연구이긴 하지만 Loth의 연구에서는 최대 37%의 인구에서도 발견했다고 한다)
그래서 광배근과 전혀 동떨어져 보이는 팔꿈치 내측부 통증이나 4,5번째 손가락 통증까지도 나타날 수 있는 것이다.
광배근 스트레칭
광배근은 골반을 고정한 채로 팔을 늘리는 방식으로도 늘릴 수 있으며, 반대로 팔을 고정한채로, 골반을 움직여주는 방식으로도 늘려줄 수 있다.
🔰 팔을 고정한채로 늘려주는 광배근 스트레칭
🔰 골반을 고정한채로 늘려주는 광배근 스트레칭
참고
Jeno, S. H., & Varacallo, M. (2023). Anatomy, back, latissimus dorsi. In StatPearls [Internet]. StatPearls Publishing.
Kasper, J. C., Itamura, J. M., Tibone, J. E., Levin, S. L., & Stevanovic, M. V. (2008). Human cadaveric study of subscapularis muscle innervation and guidelines to prevent denervation. Journal of shoulder and elbow surgery, 17(4), 659-662.
Boyle, E. K., Mahon, V., & Diogo, R. (2020). Muscles lost in our adult primate ancestors still imprint in us: on muscle evolution, development, variations, and pathologies. Current Molecular Biology Reports, 6, 32-50.
Onwochei, D. N., Børglum, J., & Pawa, A. (2018). Abdominal wall blocks for intra- abdominal surgery. BJA education, 18(10), 317.
Park, S. Y., & Yoo, W. G. (2013). Comparison of exercises inducing maximum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for the latissimus dorsi using surface electromyography. Journal of Electromyography and Kinesiology, 23(5), 1106-1110.
Goodloe, J. B., Oldenburg, K. S., Pike, J. M., & Eichinger, J. K. (2021). Single incision latissimus dorsi surgical technique: a three button repair. JSES Reviews, Reports, and Techniques, 1(3), 213-217.
Willard, F. H., Vleeming, A., Schuenke, M. D., Danneels, L., & Schleip, R. (2012). The thoracolumbar fascia: anatomy, function and clin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anatomy, 221(6), 507-536.
Elsharkawy, H., El Boghdadly, K., & Barrington, M. (2019). Quadratus lumborum block: anatomical concepts, mechanisms, and techniques. Anesthesiology, 130(2), 322-335.
Bergman, R. A. (1988). Compendium of human anatomic variation: text, atlas, and world literature. (No Title).
Haninec, P., Tomáš, R., Kaiser, R., & Čihák, R. (2009). Development and clinical significance of the musculus dorsoepitrochlearis in men. Clinical Anatomy, 22(4), 481-488.
Loth E. (1931). Anthropologie des parties molles. Paris: Masson & Cie
Gracovetsky, S. A. (1997). Linking the spinal engine with the legs: a theory of human gait. Movement stability and low back pain-the essential role of the pelvis. New York: Churchill Livingstone, 243-251.
Tewarie, L. S., Menon, A. K., Hatam, N., Amerini, A., Moza, A. K., Autschbach, R., & Goetzenich, A. (2012). Prevention of sternal dehiscence with the Sternum External Fixation (Stern-E-Fix) corset a randomized trial in 750 patients. Journal of cardiothoracic surgery, 7(1), 1-8.
Travell, J. G., & Simons, D. G. (1992). Myofascial pain and dysfunction: the trigger point manual (Vol. 2).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https://bodbucket.s3.amazonaws.com/FAOT-Addendum.pdf
https://www.sportsrehabexpert.com/public/Latissimus-Dorsi-Anatomy-Deep-Dive.cfm
'근골격계 질환 > 어깨 통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깨 통증과 연관된 근육들 (0) | 2023.10.03 |
---|---|
승모근과 통증 (0) | 2023.08.20 |
승모근(Trapezius) (0) | 2023.08.14 |
익상 견갑 재활 (1) | 2022.09.27 |
오십견 재활 (1) | 2022.04.10 |
- Total
- Today
- Yesterday